상단영역

본문영역

환경부, 2030년까지 단계별 로 모든 폐기물 원칙적 수입 금지·제한

이해관계자 의견수렴 거쳐 올해 2월 까지 로드맵 확정 예정
폐플라스틱?석탄재?폐타이어?폐골판지?폐배터리 등10개 품목

  • Editor. 조성훈기자
  • 입력 2021.01.06 18: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환경부는 2030년까지 10개 품목의 수입금지·제한 '단계별 이행안(로드맵)'이 추진된다.

환경부는 모든 폐기물의 원칙적 수입금지를 목표로 오는 2030년까지 폐금속류 등 일부 품목을 제외한 석탄재·폐지 등 수입량이 많은 10개 품목의 수입금지·제한 '단계별 이행안(로드맵)'이 추진된다.

환경부(장관 조명래)는 2019년 기준 폐지(146만톤, 37%), 석탄재(95만톤, 24%), 폐배터리(56만톤, 14%) 등 10개 품목 수입량이 384만톤으로 전체 수입량 398만톤의 96%를 차지함에 따라 2030년까지 모든 폐기물의 수입을 금지하기 위한 '단계별 이행안'을 마련하고 관련 업계 의견수렴을 거쳐 올해 2월까지 확정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이행안에 따라 폐기물 수입은 2019년(398만톤) 대비 2022년 35%(▽139만톤), 2025년 65%(▽259만톤)가 감소될 것으로 전망된다.

◇ 이행방안에 따르면 우선 수입금지가 추진된다.

국내 폐기물로 대체할 수 있거나, 폐기물 수거거부 등 재활용 시장을 불안하게 했던 폐플라스틱(20만톤), 혼합폐지(36만톤), 폐섬유(1.8만톤)는 2022년부터 수입이 금지된다.

폐플라스틱은 2018년 기준 822만톤 발생했고 이 중 558만톤(68%)만 재활용했다. 또 혼합폐지의 경우 국내 폐지 적체량은 약 20만톤이며 수입신고제('20.7월) 도입으로 혼합폐지 수입량은 2019년 36만톤에서 지난해 11월 9만톤으로 임 75%감소했다. 폐섬유는 폴리에스터 등 섬유 추출을 위해 수입했으나 국내 폐페트 또는 폐섬유로 대체했다.

이행방안에서는 또 2023년 추가로 석탄재(95만톤) 및 폐타이어(24만톤)가 수입이 금지된다. 국내 대체 공급처 확보(석탄재), 시설 개선(폐타이어 → 폐비닐 등으로 대체)에 필요한 준비기간을 고려한 것이다.

정부는 수입량이 많은 석탄재, 혼합폐지에 대해 관련 업계 등과 수입 감축 계획을 논의해 2019년 12월에 2022년 이후에는 석탄재 수입을 하지 않기로 발표한 바 있다.

폐지의 경우에도 지난해 3월 제지업계가 국내 폐지 공급과잉 해소를 위한 자구 노력의 일환으로 '혼합폐지 수입 중단'을 발표한 바 있다.

◇ 수입제한을 위한 품질기준 설정과 검사강화도 추진된다.

이에 따라 저급·혼합 폐기물 수입으로 재활용 시장이나 환경에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는 폐골판지(53만톤), 분진(13만톤) 및 오니(8만톤)는 품질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2023년부터 수입이 제한된다.

폐골판지는 인장강도, 파열강도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며, 국내 폐지보다 품질이 뛰어난 폐골판지만 수입이 허가된다.

오니, 분진도 금속 함량, 배출업종 등에 대한 기준이 마련되며, 이를 충족하는 경우에만 금속 회수 용도로 수입할 수 있게 된다.

그 외 유가금속 회수를 위해 수입 중인 폐배터리(56만톤), 폐금속(12만톤), 폐전기전자제품(4만톤)은 원료로서 가치가 높고 수입금지 시 국내 원료 수급에 어려움이 있어 기존처럼 수입이 허용된다.

다만, 품목별로 적정 수입 여부 판단을 위해 분리·선별 형태, 유해물질의 유출 여부, 이물질 함량 등 점검 기준을 마련하고 통관 전 검사를 강화함으로써 부적정인 수입을 차단한다.

한편, 환경부는 수입이 금지되는 5개 품목에 대해서는 국내 대체 원료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국내 폐기물 고품질화, 기술개발 지원 등도 함께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석탄재의 경우 국내 석탄재 재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발전사가 해수에 매립해 왔던 석탄재를 보관했다가 해상으로 운송할 수 있도록 석탄재 보관 및 해상운송 설비 구축비용 200억 원(2021~2022년)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폐타이어의 경우 폐합성수지 등 가연성 폐기물의 소성로 보조연료 사용 확대를 위한 기술 개발 지원을 위해 올해까지 2개 과제에 총 56억원을 지원하고, 폐플라스틱?폐섬유는 생활폐기물 탈플라스틱 대책에 따라 고품질화한다.

또 폐지는 품질개선을 위해 지종별 분리배출 항목을 2종으로 확대하고, 국내 폐지 안정적 공급체계(표준계약서, 수분측정기 등 사용 법제화('21년)) 구축 등을 추진한다.

홍동곤 환경부 자원순환정책관은 “폐기물 수입으로 인한 국내 폐기물 적체, 수거거부 등 부작용이 반복되고 있어 국내 폐기물로 대체 가능한 경우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라며 “수입금지·제한 '단계별 이행안(로드맵)' 확정에 앞서 관련 업계 의견수렴과 국산 대체재 활용을 위한 지원을 병행하여 수입금지로 인한 국내 영향도 최소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