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발칵 뒤집힌 대기업 탄소세 “36조 원” 부괴될 위기

국내 기업 최대 36조원 탄소세 부담… 전기요금 인상도 우려
한국 탄소국경세 직격탄… 2030년 1조8700억 부담
기업들 탄소세 도입 임박… '탄소세-탄소국경세-탄소배출권' 3중 부담
발전에너지 8.8조, 철강 4.1조, 석유화학 2.1조

  • Editor. 조성훈기자
  • 입력 2021.03.31 22: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연간 7조3000억원에서 36조3000억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기업들의 재무팀과 세무담당을 관장하는 부서들의 움직임이 비상이 걸렸다.

탄소중립 선언과 탄소세 도입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이를 도입할 경우 국내 기업들의 세부담이 최대 36조원 넘게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철강, 정유 등 전통적 제조업이 세금폭탄을 맞게 돼 대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2019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탄소세 도입 시 추가 부담을 시나리오별로 추정한 결과 연간 7조3000억원에서 36조3000억원의 추가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2019년 기준 전체 법인세수(72조1000억원)의 10.1%~50.3%에 달하는 규모이다.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국내 908개 배출처에 탄소세가 일괄 부과될 경우 최대 36조3000억원의 탄소세를 부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주요 발전에너지 공기업의 탄소세만 7조3000억원에 달해 전기요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최근 주요국의 탄소중립(Net-Zero) 선언이 잇따르는 가운데 한국에서도 국회에 탄소세(carbon tax) 관련 법안이 발의되는 등 탄소세 도입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지난 2020년 기준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10개국 중 중국·미국 등 8개국은 탄소세를 도입하지 않았고, 일본과 캐나다만 탄소세를 도입한 상황이다.

2020년 기준 탄소세를 도입한 나라는 24개국(세계은행, 2020년 5월)이지만 온실가스 배출량 상위 10개국 중 탄소세를 도입한 나라는 일본과 캐나다 2개국이다.

배출량 순위 5위인 일본은 '지구온난화대책세'를 통해 석유석탄세에 추가로 3달러/tCO2eq를 부과하며, 배출량 순위 10위인 캐나다는 지방정부 별로 탄소세(14~28달러/tCO2eq)를 도입했다.

탄소세를 도입한 나라 중 탄소세율이 높은 나라는 비교적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고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이 높은 스웨덴(119달러/tCO2eq), 스위스(99달러/tCO2eq), 핀란드(58~68달러/tCO2eq) 등이다.

◇ 배출량 상위 22~50개 기업, 탄소세가 영업이익 초과

전경련은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라 탄소세가 일괄 부과된다는 가정 하에 배출처의 추가 부담을 시나리오별로 분석했다. 탄소세율은 이산화탄소 환산톤 당 10달러, 30달러, 50달러의 세 가지 시나리오를 가정했다.

분석 대상은 '2019년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 명세서' 상 등록된 908개 배출처이다.

분석 결과 배출처들은 시나리오별로 7조3000억원, 21조8000억원, 36조3000억원의 탄소세를 부담할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각각 2019년 전체 법인세수 대비 10.1%, 30.2%, 50.3%에 해당하는 규모이다.

배출량 기준 상위 100대 배출처는 전체 탄소세의 89.6%를 부담하며 영업이익 대비 탄소세 비중은 시나리오별로 10.8%, 32.3%, 53.8%로 나타났다.

배출량 상위 100대 배출처 중 영업이익 상위 10개 배출처를 제외하면 동 비중은 시나리오별로 39.0%, 117.0%, 195.0%까지 상승하여, 영업이익이 낮은 기업일수록 탄소세로 인한 부담이 클 것으로 예상됐다.

탄소세액이 영업이익을 초과하는 배출처 수도 시나리오별로 각각 22개, 41개, 50개에 이르렀다.

◇ 발전에너지 부담 가장 높아

업종별 부담 순위는 중위 시나리오(30달러/tCO2eq) 기준으로 ▶발전에너지 8조8000억원 ▶철강 4조1000억원 ▶석유화학 2조1000억원 ▶시멘트 1조4000억원 ▶정유 1조2000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요 발전에너지 공기업 및 자회사(7개사)가 부담해야 하는 탄소세만 7조3000억원에 달해 원가 상승으로 인한 전기요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전경련은 주장했다.

철강 업종에서도 배출량 1, 2위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탄소세액 합계는 3조7000억원인 반면 양사 영업이익 합계는 4조2000억원으로 영업이익 대비 탄소세액의 비중이 88.9%에 이른다. 1년 동안 벌어들인 영업이익 대부분을 탄소세로 내야 하는 것이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탄소중립은 우리 경제와 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이지만, 한국은 제조업 비중이 주요국에 비해 높아 산업부문의 저탄소화 전환에 큰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과도한 탄소세 도입으로 산업계 부담이 지나치게 가중될 경우 오히려 투자 위축, 일자리 감소, 물가 상승 등 경제 전체에 악영향이 발생할 수 있어 탄소세 도입에는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 실장은 또 “미국과 같이 저탄소화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저탄소화 관련 기술개발 연구에 대한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신성장동력 기술 대상 포함을 통한 R&D 세제지원, 재교육을 통한 기존 일자리 전환 등 투자와 지원 중심으로 정책 방향을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 디지털비즈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하단영역